[KDRA] 2016 대한민국 드론레이싱 랭킹전에 사용할 폰더 안내

안녕하세요, KDRA 박진일 사무장 입니다.
오늘 전달드릴 공지는 랩타임 계측 장비인 Transponder 소개와 장착 방법 안내 입니다.
트랜스폰더(이하 폰더)는 협회에서 제공을 해주는 장비입니다.
즉, 선수가 구입해 준비해야 하는 장비는 아닙니다.
다만, 장착을 위해 준비를 해야 하는 항목이 있어서 안내를 드리고자 합니다.
이전까지의 대회는 기체 등록 시 모든 선수에게 폰더를 대여하고 미리 5볼트 커넥터를 준비해와야 했습니다.
그리고 기체 등록을 위해 올바르게 장착을 하고 보관소에 기체를 보관해야 했죠.
이번 랭킹전은 독립된 폰더를 단지 고정하면 되는 방식으로 개선했습니다.
# 디자인의 세련미는 다음 대회 때 쟁취하겠습니다!

위 사진은 KDRA에서 선수에게 제공할 폰더 어셈블리 입니다.

형태는 2가지로…

타입1> 벨크로 스트랩 고정형 (추천)
타입2> 벨크로 테이프 고정형

선수에게 선택권은 없으며 기본적으로 <타입1>이 지급되지만
기체 검사 스탭의 판단 하에 <타입2>로 변경해 출전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타입1>인 벨크로스트랩 고정형의 장착 예시 입니다.
기체의 좌측으로 센서가 향하게 배터리 스트랩과 고정하게 됩니다.
장착은 기체 검사 스탭이 도움을 드리게 됩니다.

다음으로 <타입2> 벨크로 테이프 고정형 입니다.
기체에 까칠이 벨크로가 붙어야 하니…
X 프레임과 같이 상단에 벨크로 스트랩이 위치하지 않는 기체는 개별적으로 까칠이 벨크로를 개인 준비해 주시길 바랍니다.

영상 장비의 테스트도 마쳤습니다.

현재 영상 송신기가 레이스밴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각 선수가 사용하고 있는 영상 송신기가 Race band를 지원하는 영상 송신기인지 반드시 확인해 주시길 바랍니다.
레이스밴드가 아닌 영상송신기로는 출전이 불가능합니다.

(랭킹전에 사용하게 될 영상 수신기의 모습)